중고거래는 이제 우리의 일상입니다.
하지만 누구나 쓰는 당근마켓, 번개장터, 심지어 카카오톡 채팅을 이용한 개인 거래에서도 사기 피해는 매일처럼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고거래는 직접 만나거나, 계좌 이체 후 택배로 거래하는 구조 때문에
사기범이 접근하기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발생한 중고거래 사기 유형 5가지를 정리하고,
그에 대한 예방 행동 수칙과 사전 대처법까지 상세히 안내드립니다.
사기를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사기를 미리 아는 것입니다.
🟩 1. “거래 전 입금 요청” – 빠른 결정 유도
“지금 다른 분도 산다고 하셔서요, 먼저 입금하시면 보내드릴게요.”
- 사기 유형 중 가장 빈도 높은 방식
- 마음이 급한 구매심리를 이용해서 입금을 유도하고 잠수
- 물건은 절대 발송되지 않음
✅ 예방법:
- 절대 거래 전 선입금 금지
- 플랫폼 내 ‘안전결제’ 기능 사용 또는 직거래 원칙
🟨 2. “이 가격에 안 팔아요” → 가격 협박 후 환불 거부
“다른 사람한테는 15만 원에 팔았는데요? 싫으면 안 하셔도 돼요.”
- 거래 중 심리적으로 압박을 가해 급하게 결제하도록 유도
- 거래 후에는 연락 두절 / 물건 불량 / 배송 거부
✅ 예방법:
- 낯선 계좌로 송금 전, 카카오톡 오픈채팅, 연락처 스크린샷 확보
- 불쾌하거나 강압적 말투 → 거래 중단 신호
🟥 3. 택배 송장 사진 위조 – 보낸 척 사기
“여기 송장이에요~ 이미 보냈어요!”
- 실제 송장처럼 보이지만, 위조된 이미지 or 예전 송장 재사용
- 피해자는 송장을 보고 입금했지만, 물건은 발송되지 않음
✅ 예방법:
- 송장번호 택배사 사이트에서 실제 조회 가능 여부 확인
- 물건이 집하되지 않은 상태라면 송장 무효!
🟦 4. “거래는 앱 말고 카카오톡으로 해요” → 거래 외부 유도
“당근 메시지는 잘 안 봐서요~ 카톡으로 얘기해요!”
- 플랫폼 내 안전장치 회피 → 카카오톡으로 이동 후 사기 진행
- 대부분 환불 불가, 판매자 정보 없음, 신고 어려움
✅ 예방법:
- 거래는 반드시 앱 내 메시지/안전결제 이용
- 플랫폼 외부 유도 = 의심 1순위
🟪 5. “상품 사진 도용” – 실제 판매자 사칭
“제품 상태는 새 거예요~ 사진 참고하세요!”
- 다른 사이트나 SNS에서 가져온 사진으로 가짜 판매 등록
- 입금 후 연락 두절, 판매자는 실존하지 않음
✅ 예방법:
- 검색창에 이미지 검색(구글 이미지 검색 등)
- 판매자 계정의 과거 판매내역 확인
- 리뷰 없는 신생 계정은 거래 주의
✅ 중고거래 사기 피해 예방법 요약
행동 수칙설명
❌ 선입금 금지 | 안전결제 사용 or 직거래 원칙 |
✅ 카카오톡 거래 유도 시 거절 | 앱 내 거래 고수 |
📸 송장번호는 직접 조회 | 실제 배송 여부 확인 |
🔍 판매자 계정/사진 이력 확인 | 신뢰 여부 판단 |
📎 거래 증거 캡처 저장 | 사기 발생 시 신고 자료로 활용 |
중고거래는 편리하지만, 사기 피해는 언제든 나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오늘 소개한 5가지 사기 유형을 기억하고,
거래 시 “조금만 의심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대부분의 피해는 막을 수 있습니다.
이 글을 가족이나 지인에게 공유해서, 당근마켓이나 번개장터에서 피해 보는 일이 없도록 함께 대비하세요.
정보는 공유할수록 강해집니다.
'디지털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미싱 문자 한 통에 낚일 뻔했다 – 내 은행 방문 후기 (0) | 2025.04.28 |
---|---|
“엄마, 급해서 그래”라는 카톡이 왔다 – 사기일 줄 몰랐던 순간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