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사기범들은 단순한 멘트로 시작해 피해자의 심리를 교묘하게 흔들고, 점점 설득력 있는 말로 송금을 유도합니다.
특히 50대 이상 사용자들은 전화 목소리만으로 신뢰를 느끼는 경우가 많아, 사기범의 대사를 그대로 믿고 따라가다 피해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피해 사례에서 사용된 보이스피싱 범죄자들의 멘트 5가지를 소개하고,
이런 멘트를 들었을 때 무조건 끊어야 하는 이유와 대응법까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립니다.
🟩 1. “○○님 명의로 개설된 통장이 범죄에 사용되었습니다”
✅ 사용 목적: 불안감 조성 → 수사기관 사칭
- 경찰 또는 검찰을 사칭하여 말하는 대표 멘트
- “대포통장”, “마약 거래” 등의 키워드를 활용
- 피해자에게 심리적 압박을 가해 통제 시작
📌 이런 말을 들으면?
→ "그건 제가 직접 확인하겠습니다. 전화를 끊고 다시 연락드릴게요."
→ 그리고 경찰청 공식 번호(182)에 직접 확인하기
🟨 2. “수사 중이라 지금 통화를 끊으시면 곤란합니다”
✅ 사용 목적: 생각할 시간 제거 → 즉각 행동 유도
- 통화를 끊지 못하게 해서 주변 사람에게 말하지 못하도록 유도
- 판단을 흐리고, 스스로 결정할 여유를 빼앗는 수법
📌 이런 말을 들으면?
→ 통화 종료 버튼 바로 누르기
→ 실제 경찰은 절대 이런 방식 사용 안 함

🟥 3. “이 계좌는 임시 안전계좌입니다. 여기에 옮기셔야 보호됩니다”
✅ 사용 목적: 송금 유도
- “보호 계좌”, “임시 계좌”라는 용어 사용
- 마치 피해자 자산을 보호해주는 척하면서 가짜 계좌로 송금 유도
📌 대응법:
→ "은행은 절대 전화로 이체 요구하지 않습니다"
→ 지금 바로 은행 공식 고객센터에 문의
🟦 4. “지금 이 통화는 녹음 중이며 수사 자료로 활용됩니다”
✅ 사용 목적: 공포감과 긴장감 유도
- 사기범이 ‘공식 절차’를 밟는 듯한 느낌을 주기 위해 사용
- 피해자가 진짜 수사기관이라 착각하게 만듦
📌 대응법:
→ 실제 수사기관은 전화로 이런 표현 사용 안 함
→ 법적 녹음은 고지 후 서면 통보가 원칙
🟪 5. “이런 문제는 가족에게 말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사용 목적: 검증 차단
- 피해자가 가족이나 지인에게 사실을 말하지 못하게 차단
- 2차 확인이 불가능하게 만든 뒤, 피해 유도
📌 대응법:
→ “가족과 먼저 상의하겠습니다”라고 말하고 무조건 통화 종료
→ 통화 내용은 녹음 후 저장
✅ 추가 팁: 이런 말 들리면 무조건 녹음부터!
- “고객님, 이건 굉장히 민감한 수사 건이라…”
- “지금 이 통화는 증거 자료로 활용됩니다”
- “수사관에게 연결해 드릴게요”
- “보안 때문에 음성 인증이 필요합니다”
📌 전부 다 보이스피싱 대사 패턴!
👉 들리는 순간, 녹음 ON + 통화 종료
보이스피싱은 기술이 아니라 말로 이루어지는 범죄입니다.
사기범들은 수많은 피해자를 거치며 완벽한 대본과 말투를 갖추고 접근합니다.
따라서 그들의 ‘대사’를 기억하는 것만으로도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오늘 이 글을 통해 들으면 바로 끊어야 할 대표 멘트 5가지를 기억하고, 가족과 지인에게도 꼭 공유해 주세요.
정보는 방패입니다. 한 마디를 기억하면, 수백만 원을 지킬 수 있습니다.
'금융 사기 예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보안 앱 추천 TOP 5 – 사기 문자와 악성앱 미리 차단하세요 (0) | 2025.04.21 |
---|---|
보이스피싱 피해, 가족이 당했을 때 함께 해야 할 5가지 행동 (0) | 2025.04.19 |
보이스피싱 전화, 절대 하면 안 되는 말 5가지 (0) | 2025.04.18 |
카카오톡 사기, 2025년 최신 수법과 메시지 속 진짜 의도 (0) | 2025.04.16 |
스미싱, 보이스피싱 피해 신고 및 환급 절차, 반드시 알아야 할 대응법 (2) | 2025.04.15 |
택배 사칭 문자 스미싱, 2025년 최신 수법과 피하는 법 (1) | 2025.04.14 |
저금리 대출 문자 사기, 절대 속지 않는 5가지 구별 기준 (0) | 2025.04.10 |
보이스피싱 전화, 실제 시나리오와 대사로 완벽 분석 (0) | 2025.04.09 |